미오스
미오스의 제로투원 데이터 일지
미오스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 전체보기 (61)
    • 📝 개발일지 (0)
    • 💻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14)
    • 코딩 (5)
      • 💻 백준 (3)
      •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0)
      • 💻 Python (2)
    • 📂 데이터 아티클 (41)
    • 🚀 스타트업 (0)
    • 🌱 일상 (0)
    • 📚 독서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SQL
  • clustering
  • 평균 이동
  • ML
  • Dimension Reduction
  • 빅데이터
  • 데이터분석
  • 데이터
  • 분석
  • study
  • 파머완
  • 자연어처리
  • 데이터사이언스
  • 파이썬
  • Python
  • mechinelearining
  • Cluster Evaluation
  • 분류
  • AI
  • 인공지능
  • 머신러닝
  • 밀도 기반 군집화
  • CounterVectorizer
  • NLP
  • 딥러닝
  • AI study
  • CLASSFICATION
  • mechinelearing
  • mechinelearning
  • 확률 기반 군집화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미오스

미오스의 제로투원 데이터 일지

Python 파이썬 함수 기본 구조
코딩/💻 Python

Python 파이썬 함수 기본 구조

2021. 12. 24. 17:26

 

함수를 쓰는 이유?


프로그램이 하는 일은 유사한 작업을 계속 반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합계를 구하는 일이 앞으로도 빈번하다면,

타이핑을 매번 치는게 귀찮을 뿐 아니라소스가 길어지고 구조상으로도 좋지 않다.

함수란 이러한 일련의 코드블록에 이름을 붙여 정의한 것이다.

 

* 0부터 n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 (여러개의 합계를 해보고 싶을 때)

sum = 0

for num in range(5):

    sum += num

print("~4 = ", sum)

 

sum = 0

for num in range(11):

sum += num

print("~10 = ", sum)

 

.

.

.

 

함수의 기본 구조


def 함수명 (인수 목록) :

    본체

 

def 키워드(define) 뒤에 함수의 이름을 정의한다.

함수명은 명칭이므로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인수목록은 호출원이 함수로 전달하는 '작업거리'이며 함수 내부에서 사용한다.

본체는 함수의 동작을 처리하는 코드를 기술한다.

 

이렇게 정의해 놓고 다음 호출문을 실행한다.

 

def calsum(n):

    sum = 0

    for num in range(n+1):

        sum += num

    return sum

 

print(calsum(10))

: 10까지의 수의 합을 구하는 함수 및 프린트

 

'코딩 >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함수 인수 | 가변 인수  (0) 2021.12.24
    '코딩/💻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파이썬 함수 인수 | 가변 인수
    미오스
    미오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