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더불어민주당이 문재인 대통령 임기를 한 달여 남겨두고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강행하자 네티즌들의 관심도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부터 14일 사이의 뉴스·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주요 키워드 분석에서 ‘검수완박’이 새로 상위권에 진입했다. SNS상에서는 검수완박 키워드 언급이 지난 8일에 비해 최대 127.5배 급증하기도 했다. 민주당이 검찰 개혁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한동훈 사법연수원 부원장을 지명하면서 검수완박을 둘러싼 유권자들의 높은 관심이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 ‘4월 이내 검수완박’ 배수진…윤석열, 한동훈 임명으로 응수
민주당은 지난 12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검찰에게 남은 6대 중대범죄 수사권까지 완전히 경찰에 이관하는 내용의 검찰 개혁안을 당론으로 채택했다. 단순히 수사권을 이관하는데 그치지 않고 비대해질 경찰 권력을 견제하는 장치와 함께 자치경찰과 수사 조직을 분리해 ‘한국형FBI’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4월 임시국회 안에 검찰의 수사권을 경찰에 넘기는 내용의 검찰청법·형사소송법 개정안을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일단 수사권을 넘기는 법안을 의결한 뒤 개정안이 명시한 3개월의 유예기간 안에 경찰 견제 방안과 ‘한국형 FBI’ 출범을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이다.

민주당의 갑작스러운 개혁 드라이브에 국민의힘은 필리버스터도 불사하겠다는 자세로 맞서고 있다. 검찰 역시 민주당이 검수완박을 당론으로 채택하기 전부터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윤 당선인 측 역시 “검수완박은 헌법파괴”라며 거칠게 반발했다. 여기에 윤 당선인이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한 부원장을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민주당의 검찰개혁과 한 부원장을 필두로 한 윤 당선인의 검찰 독립이 맞서는 모양새가 됐다.
‘검수완박’에 쏠린 눈길…‘검찰’·‘한동훈’도 덩달아 상승

민주당이 지방선거를 50여일 남겨두고 꺼내든 검수완박 카드는 국민들의 관심을 끄는 데는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스피치로그가 지난 8일부터 14일 사이 언론보도·SNS상 언급·커뮤니티상 언급된 주요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검수완박’이 세 분야 모두에서 상위 10위권에 신규 진입했다. 특히 언론 보도에서는 1위를 기록해 “검수완박이 인수위 이슈를 잡아먹었다”는 평가가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키워드 ‘한동훈’ 역시 SNS상 언급에서 3위(14계단↑), 커뮤니티상 언급에서 4위(19계단↑)로 급등했다. 키워드 ‘검찰’ 역시 SNS와 커뮤니티 분석에서 각각 25계단, 31계단 상승해 정국의 중심에 섰다.
흥행은 성공…‘검수완박’ 언급 127배↑

이같은 추이는 SNS상 텍스트를 분석해주는 빅데이터 서비스 썸트렌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1일 총 67건에 불과했던 SNS상 검수완박 언급은 민주당이 검찰 개혁 법안을 당론으로 채택한 다음날인 13일 8542번 거론돼 언급량이 127.5배 증가했다. 언론 보도 역시 1일 7건에서 13일 1286건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한 부원장에 대한 언급 역시 1일 309건에서 13일 1만 904건으로 약 2주만에 35.3배 증가했다. 한 부원장에 대한 언론보도 역시 52건에서 883건으로 증가했다.

다만 검수완박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은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검수완박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던 지난 13일 ‘검수완박’ 키워드에 대한 연관어 중 부정 연관어가 6785건(83.9%)에 달해서다. 실제로 4월 2주차 검수완박 관련 연관어에는 ‘피해’, ‘논란’, ‘갈등’, ‘의혹’, ‘폐해’와 같은 부정적인 뉘앙스의 단어가 새로 상위권에 진입했다. 상위 연관어 1~5위 모두 ‘범죄’, ‘반대하다’, ‘강행’, ‘우려’ 등 부정 감정어로 분류되는 단어들이었다. 민주당이 법안 통과 시한을 촉박하게 잡으면서 졸속 입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민주당이 보다 적극적으로 국민들에게 검수완박의 필요성과 개혁 법안의 내용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썸트렌드 분석에서 검수완박 연관 긍정 키워드는 1116건으로 13.9%, 중립 키워드는 180건으로 2.2%였다.
개혁에 묻힌 지방선거…'한동훈' 언급량의 20%에 불과

검수완박이 정국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불과 40여일 남은 지방선거가 주목 받지 못하고 있다. 썸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1~6일 사이 키워드 ‘지방선거’는 최대 1929건 언급돼 키워드 ‘한동훈’, ‘검수완박’보다 높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민주당이 검수완박을 추진하면서 7일 키워드 ‘한동훈’ 언급량이 ‘지방선거’를 처음 제치더니 8일 ‘검수완박’ 역시 2261건 언급되며 837건 거론된 ‘지방선거’를 앞섰다. 13일의 경우 ‘한동훈’은 1만 904건, 검수완박은 8542건 언급된 데 비해 지방선거 언급량은 2173건에 그쳐 4~5배 차이를 보였다. 17일에도 ‘한동훈’과 ‘검수완박’은 각각 2764건·2715건 언급돼며 1·2위를 다투는 데 비해 ‘지방선거’ 언급량은 840건으로 줄어들었다.
🔎 본문 선정 이유
📍 데이터로 여론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그것의 효용성(정확성) 등
📝 핵심 요약
📍 민주당 ‘검수완박’ 4월 이내 강행 배수진…尹 한동훈으로 응수
📍 그러자, 언론보도·SNS서 ‘검수완박’·‘검찰’·‘한동훈’ 키워드 순위 급등
📍 SNS 상 관심도 집중…‘검수완박’ 127배↑·‘한동훈’ 35배↑
📍 ‘검수완박’ 부정 연관어 비율 83.9%…지방선거도 묻혀
📚 추가 조사할 내용
📍 데이터를 제공 및 분석해준 스피치로그, 썸트렌드는 어떤 서비스(회사)일까?
말을 기록하고 분석합니다. Speechlog
발언 빅데이터 분석, 뉴스 속 발언 모니터링, 이슈 분석, 맞춤형 솔루션 제공
speechlog.co.kr
유명인 키워드 분석 1위 여전히 윤석열 - 미디어오늘
언론보도·SNS 등의 키워드를 분석해주고, 유명인들의 발언이 어떻게 미디어에서 확산하는지 보여주는 사이트가 등장했다. 최근 서비스를 시작한 ‘스피치로그(speechlog)’는 현재 정치·경제·사
www.mediatoday.co.kr
"언론보도·SNS 등의 키워드를 분석해주고, 유명인들의 발언이 어떻게 미디어에서 확산하는지 보여주는 사이트가 등장했다.
...
세부적으로는 뉴스 키워드 순위, SNS 키워드 순위, 커뮤니티 키워드 순위 등 채널별로 관심 키워드가 어떻게 다른지도 각각 보여준다. 이제 막 서비스를 시작한 스피치로그는 현재 20개 언론사 언론보도를 대상으로 발언을 분석하고 있다. 주 대표는 “지방지, 종편 등을 더 넣어 언론매체를 50개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했다. "
썸트렌드(Sometrend)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할 때, 썸트렌드에서 빅데이터 인사이트를 찾아보세요.
some.co.kr
바이브(VAIV)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썸트렌드, 테크핀, q 디지털 트윈, 인공지능 리포트
vaiv.kr
카카오에서 탄생한 '바이브컴퍼니'…디지털트윈 넘어 테크핀까지
카카오에서 탄생한 '바이브컴퍼니'…디지털트윈 넘어 테크핀까지 , 구은서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 2000년 설립된 이 회사는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1세대 기업으로 꼽힌다.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의 사내 벤처로 출발해 지난해 코스닥에 상장했다. 카카오는 바이브컴퍼니 지분 9.3%을 보유하고 있다. 최대주주는 창업자인 김경서 기술총괄자문(이사회 의장)이다. 이재용 대표는 조달청 재직 시절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를 개발해 연간 약 100조원 규모에 달하는 조달시장을 전산화한 인물이다. 송길영 부사장은 국내 빅데이터 전문가로 꼽힌다. "
📍 스피치로그는 뉴스 데이터를 가져와서(like 크롤링 등) 긍정/부정 단어 등의 연관 검색어로 분류하는 것 같은데, 썸트렌드는 많은 기능 및 등위 서비스를 차곡차곡 이용해서 파악해봐야 겠다
📰 기사 원문
검수완박에 한동훈으로 응수…SNS 언급 127배 '껑충' [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더불어민주당이 문재인 대통령 임기를 한 달여 남겨두고 ‘검수완박(검
www.sedaily.com
'📂 데이터 아티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이 자연어 처리(NLP)에 가장 효과적인 이유 (0) | 2022.05.24 |
---|---|
성장이냐 정체냐...중대 기로에 선 韓 리걸테크 (0) | 2022.05.23 |
배민, 지난해 허위리뷰 11만건 차단…AI 시스템 도입 (0) | 2022.04.18 |
창과 방패의 대결, 인공지능 가짜 사진 vs 가짜 사진 판별 인공지능 (0) | 2022.04.11 |
NFT 원본은 어디에 있는 걸까?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