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사용자의 마음을 이끄는 제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0분 안에 이런 걸 알려드려요!
- 메이커와 최고의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한 PM의 역할
- 제품 출시 과정에서 PM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중요한 이유
- 카카오뱅크 프로젝트 사례로 보는 데이터 기반 출시 전체 프로세스 공유
안녕하세요. 카카오페이의 프로덕트 매니저 박원영입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사용자의 마음을 이끄는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 글이 서비스에 '데이터 인사이트'를 녹여내고 싶은 데이터 애널리스트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으로 제품을 만들고 싶은 프로덕트 매니저 등, '데이터 기반 제품 출시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시는 다양한 직무의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지금부터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어떤 접근방식과 사고방식을 가져야 하는지 알아보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으로 제품이 만들어지는 사례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책임
... 두 번째, 프로덕트 매니저는 메이커(개발자, 디자이너 등)와 최선의 팀워크로 최고의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팀워크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은 프로젝트의 타당성과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입니다. 이때 프로젝트의 타당성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근거 있는 설득력이 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기반 제품 출시
제품 출시 프로세스는 데이터를 탐색하고, 불편점을 발굴하는 부분에서 시작합니다. 사용자가 우리 제품을 사용하는 데 어떤 부분을 불편함으로 느끼는지 사용자가 되어 경험해보기도 하고, 또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탐색하여 인사이트 - 즉 사용자의 불편함의 근거들을 찾는 과정이지요. .....
3. 사례로 보는 데이터 기반 출시 전체 프로세스
지금부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이 만들어진 실제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제가 소개해 드릴 사례는 오픈뱅킹 시스템을 활용한, 카카오뱅크 자산 연동 프로젝트입니다. 테크핀 업계 최초로, 모든 1금융권 은행의 계좌를 자동으로 연동하고 또 자산관리를 할 수 있었던 프로덕트인데요.
카카오뱅크 자산연동 프로젝트를 통해 사용자들은 공동인증서라는 불편한 장치 없이도, 본인인증 한 번만으로 손쉽게 거래 내역을 가져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산관리 서비스를 사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가져다 준 이 프로젝트는, 사실 기획에서 출시까지 1.5개월밖에 소요되지 않았습니다.
...
"publy 글은 유료 저작권이므로, 전문은 제 유료 계정 공유기능을 통해 보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전문은 하단 배너를 클릭하셔서 봐주세요
카카오페이 PM이 말하는 빠른 의사결정 노하우
사용자의 마음을 이끄는 제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책임 / 사례로 보는 데이터 기반 출시 전체 프로세스
publy.co
🔎 본문 선정 이유
📍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결정하는, 그리고 특히 그 책임을 가장 많이 지고 있는 PM이 어떻게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함
📝 핵심 요약 및 수치적 근거
📍 PM의 역할과 책임
- 메이커(개발자, 디자이너 등)와 최선의 팀워크로 최고의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는 사람
- 제품 전체 라이프 사이클(Full Life Cycle)을 관리하는 역할 및 제품의 성과 지표를 정의/수집/분석/설계 등을 책임
- 팀워크 핵심 = 프로젝트의 타당성과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 <-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근거가 가장 설득력 있음
📍 제품 출시 프로세스
- 제품 출시를 하기 전, 가장 먼저 데이터를 탐색합니다.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내가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의 데이터 성격을 카테고리화하고, 또 그룹별로 탐색해 보는 것입니다. 그 다음 '사용자들은 어디에서 불편함을 느낄까' 불편점을 발굴합니다.
- 특히 담당하시는 프로덕트의 사용자 행동 데이터에서 불편함을 발굴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유사한 프로덕트들을 직접 사용해 보면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불편함을 점검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그 다음, 데이터 기반의 근거 있고 단단한 논리의 솔루션으로 의사결정을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 가설의 근거 데이터를 그대로 제품 정책에 반영하고, 또 사용자 경험 개선 포인트에 반영해서 제품을 개발하는 것. 또 데이터를 최대한 입체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자의 행동을 역으로 고민하고 사용자의 행동 이벤트를 기록하도록 개발하는 것. 이 데이터로 다시 탐색하고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발견하는 것이 제가 말씀드린 데이터 기반의 제품 출시 프로세스였습니다.
📚 추가 조사할 내용
📰 기사 원문
카카오페이 PM이 말하는 빠른 의사결정 노하우
사용자의 마음을 이끄는 제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책임 / 사례로 보는 데이터 기반 출시 전체 프로세스
publy.co
'📂 데이터 아티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차 첫 주행 합격!” 상암동 자율주행차 승차해 보니… (0) | 2022.04.07 |
---|---|
아이엠택시, 자체 AI로 카카오T 넘본다 (0) | 2022.04.07 |
정답 유형을 분류하는 딥러닝 기술 (0) | 2022.04.06 |
데이터 분석, 먹고 들어가기 위한 SQL 공부법(2편) (0) | 2022.03.29 |
IT기업에서 선호하는 개발자 기술 스택 TOP 20 분석 (0) | 2022.03.29 |